가상화폐인 라이트 코인은 2011년 10월 7일, 

구글의 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코인베이스(Coinbase)의 디렉터였던 찰리 리(Charlie Lee)에 의해 공개되었습니다.

비트코인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사용이 편하도록 설계된점이 특징입니다.



 라이트 코인은 여러가지 기술적용에 있어서 매우 빠르고 선도적이며

전송속도 또한 매우 빠른 편이기 때문에 상용화와 실결제수단에 매우 근접한 암호화폐중 하나입니다.


<비트코인과는 어떻게 다른가??>

비트코인이 금색이라면, 라이트코인은 은색!

비트코인과 차별화를 주기 위해 몇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을 중심에 두고 개발된 만큼, 기술적 측면은 비트코인과 비슷한 면이 많습니다.

다만, 비트코인의 단점을 보완하고 좀더 나은 가상 화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블록은 매 10분마다 갱신되지만, 라이트코인 블록은 매 2.5분마다 갱신됩니다.

따라서 비트코인보다 대략 4배 빠른 거래가 이루어 질수 있습니다.


*라이트코인은 최종적으로 8400만개의 라이트코인을 만들어 집니다. 

이는 비트코인의 2100만개의 정확히 4배 많은 통화량이라고 합니다.


2017년 연말인 12월 30일에 라이트코인 재단 멤버 중 한명이 찰리 리가 라이트코인 재단에 수십억 이상을 기부한 것을 밝혔습니다.

해당 재단은 자율적으로 매월 재무재표를 공개하기 때문에 찰리의 기부 사실을 재무재표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찰리는 해당 발표 후 라이트코인팀이 현재 기업과의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며 2018년이 라이트코인에게 좋은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인터뷰했습니다.

시기적으로 발표할 단계라 아니기 때문에 전문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4가지의 프로젝트

(Merchant processor, Popular online wallet, Goods trading platform, One huge unexpected surprise)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해당 찰리의 결정에 대해서 주요 언론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찰리 리가 현금화에 대한 비난을 피하기 위해 핑계를 대는 것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찰리는 라이트코인 매도 없이도 ICO 어드바이징을 통해

 단기간 내에 손쉽게 엄청난 돈을 손에 넣을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인물이기도 합니다.

암호화폐 생태계를 위해 ICO에 단 한번도 직접 어드바이징하지 않았다는 점으로 보았을 때

 찰리의 주장의 신빙성이 높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난여론조성의 매체들은 찌라시 수준의 매체이고 

다수의 관련 주요언론들은 찰리의 결정을 멋진 일이라고 칭찬한 바 있습니다.


<2018년 6월 22일 기준 라이트코인 시세>

약 10만 8,000원 정도




리플코인 vs 스텔라루멘 코인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리플코인!


리플 코인은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함께 오랫동안 3대장 암호화폐로 불렸으며

 2017년에 잠시 비트코인 캐시, 라이트코인, 아이오타에게 상위순위를 넘겨주기도 했지만

 2017년 12월에 10배가 오르며 이들을 전부 재추월하고 다시 암호화폐 3대장으로 등극한바 있습니다.


암호화폐라고는 했지만,

 리플 그 자체는 사실 블록체인 기반 송금 시스템에 가깝다고 할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치고는 수수료가 매우 적은 편입니다.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토큰을 발행 주체에서 한 번에 엄청나게 풀었습니다.

가격 변동이 잠잠한 것도 송금 시스템이라는 목적 때문에 가격 변동을 적게 하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러다 2017년 12월, 몇 개월 전부터 예정되어 있었던 550억 개의 

XRP를 동결하는 작업을 진행했으며, 이에 따른 큰 폭의 가격 상승이 일어난바 있습니다. 

대장코인인 비트코인도 빠른 송금과 익명성, 몇십원 정도의 적은 수수료를 장점으로 내세우며 출발했지만, 

가격이 너무나 비싸지고 거래가 너무 많아진 현재는 10만 원 상당 금액을 1시간 내에 보내려면 

1만 원 이상을 수수료로 내야 하는 등 어이없는 상황에 부딪치고 말았습니다. 

비트코인의 송금 생태계는 전적으로 채굴에 의존하고 있기때문에 

채굴자는 당연히 수수료가 많이 붙은 거래를 우선 처리하게 됩니다.


반면, 리플은 채굴하는 방식이 아니며,

소수의 분산된 폐쇄노드들이 송금 원장을 나눠 갖는 방식으로 블록체인을 완성하기 때문에

 비트코인에서 발생한 수수료 인플레이션 문제는 구조적으로 발생할 수는 시스템입니다.


리플의 장점

-다른 화폐보다 결제 속도가 빠르고, 확장성이 뛰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주로 XRP로 표기되며, 은행에서는 nostro 계정에 미리 자금을 투입하지 않고도 

요구되는 유동성을 실시간으로 확보할 수 있다고 합니다.



리플 최고 가격

2018년 1월 4일 오후 9시 4대 거래소 전부 4500원을 돌파한바 있습니다.


현재는 가격 폭락으로 인해

2018년 6월 21일 기준

600~700원대를 횡보 중입니다




스텔라루멘은 가상화폐 중 하나입니다.

리플에서 하드포크하여 개발된 암호화폐입니다. 

비영리 기업인 스텔라 재단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가상화폐중 하나인 리플의 업그레이드 버젼(개선 버젼)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리플은 수수료가 발생하면 소각되는데, 

반면에 스텔라 루멘은 계속 잔류하고 있습니다.

이는 스텔라 시스템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만 결과적으로 발행 후 첫해 1%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인플레이션이 해마다 1%인 게 아니라 10억 개로 고정적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먼 미래에는 그리 많은 양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기도 합니다.

리플이 기업 간의 자금송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면 

스텔라루멘은 개인 간의 거래를 편안하게 하고자

개발한 코인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시세는 2018년 6월 21일 기준 현재 250원대 전후 입니다.



이번에는 가상화폐

이더리움(Ethereum)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다음으로 유명한 가상화폐인 이더리움은 

2015년 7월 30일 비탈릭 부테린이 개발한 암호화폐 플랫폼입니다.


가상화폐의 대명사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가장 큰 차이는 적용 범위로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결제나 거래 관련 시스템, 즉 화폐로서의 기능에 집중한 코인입니다.

때문에 비트코인은 1세대 코인, 이더리움을 2세대 코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반면 이더리움은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blockchain)을 기반으로 거래나 결제뿐 아니라 

계약서, SNS, 이메일, 전자투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게 확장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즉 화폐로서뿐 아니라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현재는 거의 화폐로서만 인지 되고 있지만,

블록체인 기반이다 보니 이것들은 당연히 분산 애플리케이션이 됩니다.

그래서 이것을 줄여서 DApp 또는 dApp(댑)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C++, 자바, 파이썬, Go 등 대부분의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여 

모든 형태의 거래를 프로그래밍 가능하게끔 설계 되어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목적은 분산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대체 프로토콜을 만드는 것입니다.

대규모 분산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할 것이라 생각되는 다른 종류의 제작기법을 제공하며, 

빠른 개발 시간, 작고 드물게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보안, 

다른 애플리케이션과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한 상황에 특히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은 솔리디티라는 자바 기반의 튜링 완전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내장하고 있는 블록체인이라는 

필수적이고 근본적인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이 목적을 이루고자 합니다.

누구든지 이 언어를 사용해 스마트 컨트랙트,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고 소유권에 대한 임의의 규칙, 

트랜잭션 형식상태 변환 함수 등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네임코인의 기본적인 형태는 두 줄 정도의 코드로 작성할 수 있으며,

통화나 평판 시스템 관련 프로토콜은 스무 줄 내외의 코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어떤 값을 저장하고, 특정한 조건들을 만족했을 때만 그 값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암호 상자인 스마트 컨트랙트 또한 이 플랫폼 위에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보다 더 많은 것을 활용 할 수 있고 효율적인 면에서 앞으로의 행보에 대한 기대가 큰 상황.

오늘은 화제의 코인

아이오타(IOT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오타(IOTA)는 IOT에 최적화된 코인입니다. 

독일에 기반한 비영리 단체인 아이오타 재단에서 발행했습니다..

사실 암호화폐라고는 했지만,

 블록체인 방식이 아닌 신기술인 탱글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주요 암호화폐들보다 비교적 최근에 나온 것이기 때문에 기술 부분에서는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이에 따라 메인넷에 상장된 지 1년만에,

거래소에서 거래된 지 5개월만에 1000종이 넘는 암호화폐들 속에서 한때 세계 4위의 규모가 된적도 있습니다.


리플코인(암호화폐)처럼 다른 가상화폐와 다르게 채굴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고, 

발행은 전적으로 아이오타 재단의 소관이습니다.

하지만 재단은 최대 발행량으로 정해놓았던 27억 MIOTA를 발행하였고 이를 전부 시장에 유통시켰습니다. 

그래서 최대 발행량과 시장 유통량이 다른 일반적인 암호화폐들과 달리 거의 비슷하며,

아이오타 재단은 해당 액수 안에서의 발행권을 다 사용한 상황입니다.

[아이오타의 장점]

*송금 수수료 무료

탱글 기술 자체는 채굴자가 필요하지 않으며,

거래자들이 스스로 채굴자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채굴자에게 들어가는 송금 수수료가 없습니다.

송금 수수료에 대해 비트코인은 수수료 $2~10에 3~4Transaction/second, 

이더리움은 수수료 $0.01~0.1에 20T/s, 페이팔은 193T/s, 

아이오타는 수수료는 무료에 500~800T/s라고 소개한 바 있습니다.


*송금이 많아질 수록 더욱 빨라지는 송금 속도

블록체인 기반이 아닌 탱글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거래자 서로가 채굴자의 역할을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송금자가 증가할 수록 채굴자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여 거래가 더욱 빨라진다고 합니다.


*IOT로의 접목 가능성

위 두 장점에 따라 기계를 통한 사물 인터넷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다고 합니다.

수수료가 없고 송금 속도가 점점 빨라질 것이기 때문. 따라서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소액결제의 수단으로써 많이 쓰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덕분에 IOT에 관심이 많은 삼성 ARTIK, 마이크로소프트, 보쉬, 시스코 등에서 관심을 갖기도 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경우에는 아이오타 시장 참여에 관심을 갖기도 한 상황입니다.

대만 타이페이에서는 2018년 1월 30일, 아이오타 재단과 협약을 맺고 

아이오타를 활용한 IoT 스마트 시티 계획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2018년 2월 22일, 폭스바겐도 IoT 컨퍼런스에서 IOTA를 통해 차

량 가격을 수요에 맞게 자동 조절하게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겠다고 밝힌바 있습니다.

[문제점]

*의심스러운 사물인터넷 접목 가능성

현재 IOTA는 사물인터넷기기에서 동작하지도 않으면서 사물인터넷 접목을 셀링포인트로 잡고 있습니다. 

IOTA는 자바로 만들어진 GUI 지갑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로 쓰고 있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이 자바 프로그램 자체가 IOTA가 목표로 하는 작은 사물인터넷 기기인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작동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사물인터넷 기기에 돌아가기 위해서는 자바가 아닌

 C나 C++로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하는데, 

그것이 언제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 또한 보안 해시 함수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SHA가 아닌 자체적으로 개발한 Curl을 쓰고 있는데,

이 함수의 보안은 둘째 치더라도 이런 자체 개발 해시 함수는 

하드웨어 가속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저전력이 필수적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는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니다.

때문에 실제로 아이오타를 실용화 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번시간에는

화제의 가상화폐

이오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오스(EOS) 명칭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으나, 

떠도는 말들에 의하면 EOS Operating System, End of States, Ethereum on Steroids 등이 있습니다.

참고로, EOS를 한글 자판으로 입력하면 댄(댄 라이머를 의미)이기때문이라고 썰도 있습니다.


EOS 토큰은 케이맨 제도 기업 블록원이 이오스 소프트웨어(EOS.IO)의 개발 자금을 무상으로 기부받는 대신, 

ERC-20 스마트 계약에 따라 2017년 6월 26일 13:00 UTC부터 2018년 6월 1일 22:59:59 UTC까지 정해진 방법으로

기부자들에게 배포하기로 한 ERC-20 호환 토큰이라고 합니다.


이오스 소프트웨어 (EOS.IO)는 블록원에서 2016년 개발에 착수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브렛츨리나 IBM사의 하이퍼렛저 패브릭과 같은 블록체인 아키텍처 중 하나입니다.

백서의 내용에 따르면 이오스 블록체인은 이더리움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로 

트랜잭션 처리가 가능한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른 트랜잭션 처리와 더불어 사용자는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고 

개발자가 이오스를 지불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게 된다는 점입니다. 

이에 비해 이더리움 기반의 dapp들은 개발자는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고

 사용자가 이더리움을 지불해야만 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방식때문에 현재 이오스는 이더리움 킬러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오스는 주로 웹에 잘 어울리도록 구성되어있어

스마트 컨트랙트 등을 웹 브라우저상에서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오스는 리눅스나 안드로이드와 같이 dapp들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입니다.


오늘은 가상화폐 EOS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7년 5월 22일 Consensus 2017에서 EOS 프로젝트가 발표되었습니다.


2017년 6월 26일 ICO가 시작되었습니다.


2017년 12월 04일 Dawn 2.0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2017년 12월 13일 빗썸에 상장되었습니다.


2018년 1월 13일 서울 밋업이 진행되고 첫 dapp 에브리피디아가 발표되었습니다.


2018년 1월 16일 구글 의장 에릭 슈밋의 벤처투자회사 TomorrowBC의 투자 소식을 발표했습니다.


2018년 1월 23일 전 헤지펀드 매니저이자 포춘지 선정 빌리어네르 마이클 노보그라츠가 이끄는 Galaxy Digital 투자회사의 투자 소식을 발표했습니다.

1

2018년 1월 24일 신용평가회사 와이스레이팅스社의 세계 최초 암호화폐 신용평가에서 이더리움과 함께 B등급(공동 1위)을 받았습니다.


2018년 2월 13일 EOS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 EOSFINEX의 개발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2018년 2월 17일 네트워크 상의 토큰들간 상호 교환을 위하여 반코 프로토콜을 채택했습니다.

 반코 프로토콜은 중앙화된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네트워크 상의 토큰들을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로 현재는 이더리움의 토큰들을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지갑에서 바로 교환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2018년 3월 01일 체인파트너스의 EOSYS가 대한민국의 첫 BP 후보로 출마했습니다.


2018년 3월 16일 백서 Version 2를 공개했습니다.


2018년 3월 16일 DarpalRating에서 전체 5점 만점중 5점을 획득했습니다.

2018년 3월 21일 유럽의 핀테크 벤처캐피탈 FinLab AG로부터 약 1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게되었습니다.


2018년 3월 22일 업비트에 상장되었습니다.


2018년 3월 23일 EOS Github에 공시된 Dawn 3.0의 개발 진행률이 100%에 도달했습니다.


2018년 4월 02일 국내 기업 네오위즈가 EOSeoul이란 이름으로 bp 후보에 등록했습니다.


2018년 4월 05일 Dawn 3.0의 개발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개발 완료 발표 내용 중에는 테스트넷의 트랜잭션 속도가 

평균 3000 tps로 네오의 1000 tps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이오스가 체인간 통신(inter-chain communication)을 통해 병렬처리가 가능해져

 이론상 무제한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언급되었습니다. 

2018년 4월 06일 홍콩 밋업이 진행되고, 

아시아의 EOS 생태계 발전을 위한 2천억원 규모의 조인트 파트너쉽 투자와 해커톤을 발표했습니다.


2018년 4월 11일 비트코인 2위 마이닝풀인 우지한의 antpool이 bp 후보에 참가했습니다.


2018년 4월 18일 페이게이트가 한국의 세번째 bp후보로 출마했습니다.


2018년 4월 19일 비트코인 3위 마이닝풀 viaBTC가 bp 후보에 참가했습니다..


2018년 4월 19일 OK 블록체인 캐피탈이 이오스 생태계에 천억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발표했습니다.


2018년 4월 24일 코인원에 이오스가 상장되었습니다.


2018년 4월 24일 마카오에서 EOS 슈퍼노드파티가 개최되었고,

 antpool, EOSeoul을 포함한 6개 bp들의 공약 발표가 있었습니다.


2018년 4월 24일 비트피넥스(BITFINEX)가 이오스 bp 후보에 출마했습니다.


2018년 4월 24일 후오비(Huobi)가 이오스 bp 후보에 출마했습니다.


2018년 5월 5일 댄 라리머가 Dawn 4.0을 발표했습니다.


2018년 5월 12일 Dawn 4.0의 개발이 완료되었습니다.


2018년 6월 2일 ICO가 종료되었다.


2018년 6월 2일 EOSIO 1.0가 정식 릴리즈되었습니다.


2018년 6월 10일 BP들의 만장일치로 메인넷이 런칭되었습니다.

다만, 메인넷의 실제 가동을 위해서는 15% 이상의 토큰홀더들의 투표가 필요합니다.


2018년 6월 15일 투표율 15%를 넘어 메인넷이 실제 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 Recent posts